Lee Chul Ho... Photographer ​​​​​​​
The biggest theme of my photography work is human, and another big theme is nature. “Family,” was a story about humans and a work about home, one of the most necessary things in human life. Korean traditional earthen house was my main subject.  “The First Nature_grassland”, is a story about nature and tries to express the vitality and wonder of aquatic plants that endure waves and storms. I want to reveal the formative beauty of the water plants, which are reproduced by matching worn stone(mongdol) and seaweed. I reproduced the tough and strong vitality of seaweed,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find my self.
제 사진작업의 가장 큰 주제는 인간이고 또 다른 큰 주제는 자연일 것이다.  “가家가”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였고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한 것 중의 하나인 집을 소재로 한 작업이었다. “초원(初元, The first nature)”은 자연에 대한 이야기이고 파도와 폭풍우를 견디며 살아가는 수초의 생명력과 경이로움을 표현해 보고자 한다. 몽돌과 해초가 어울려서 재현하는 생명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구현하고자 한다. 해초의 질기고 강인한 생명력을 마주하면서 나의 자아를 찾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Selected shows & Exhibitions
ABD. in Arts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OIPA auditor, Doctor of Psychology 
Health psychologist , Addiction psychologist,  Photojinju Steering Committee member

Solo Exhibitions
2023    10      The Nature, gekilin. (Osaka, Japan)
2023     08      놀이_터 The Play_Ground, TY A&C (Changwon, Korea)
2023     05      결, 박 The Line on the Grassland, 나무88Gallery (Jinju, Korea)
2022     08      놀이_터 The Play_Ground, On_Gallery (Jinju, Korea)
2022     04      초원初元과 가상, TY A&C (Changwon, Korea)
2021     09      초원初元_The First Nature_Grassland, Insa Art Center (Seoul, Korea)
2020     10      초원初元_The First Nature_Grassland, On gallery (Jinju, Korea)
2019     03      서민흙집의 자연미_The natural beauty of the common people's mud house,Changdong Gallery (Changwon, Korea)
2018     09      서민집의 자연미_The natural beauty of the common people's mud house, Miryang City Museum (Miryang,Korea)
2017     10      가가_The House, On_Gallery (Jinju, Korea)
2017     07      가가_The House, Gallery Index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2022     11       단지 그곳에 있다 It just stayed there, Photojinju (Jinju, Korea)
2021     10       자연환경전-경남국제사진페스티벌, Gyeongnam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Changwon, Korea)
2020     12       Damyang Internationl Photo Festival-A visual gaze of life beyond the context, Damju Art Area (Damyang, Korea)
2018     03       Love calligraphy love feeling_愛書愛感, Gaongil Gallery (Jinju, Korea) 
2017     12       Korean Contemporary Photography Exhibition, Arthelix Gallery (New York, U.S) 
2017     11       Photo Jinju 2017_Reappearing Memories, Ggotgol Gallery (Jinju, Korea) 
2017     09       The 4th Contemporary Photography Contest, Exhibition of Selected artists, Gallery Index (Seoul, Korea)
2015     01        Memory_Records of Manggyeong Okbong, Lucida Gallery (Jinju, Korea)                                   
 
기타(책발간) Books                                                                                             
2020     10       Lee Chul Ho's story of poem and photography 2_The First Nature_Grassland, On_book 
2017     11       Lee Chul Ho's story of poem and photography 1_The House, 부크크  
Essay
                                                                   The First Nature_grassland                                                                                                                                                                                                                                                                                                by Choi Nam Jung(Ph. D. Education)  
  I was invited to Lee Chul-ho's first solo exhibition, “The House” and had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it. The old dirt houses in the black and white pictures reminded me of the memories of my maternal grandmother's house as a child. I played rubber bands in the yard of the earthen house. And in the summer, I cooked corn over a mosquito fire. The sound of the winter breeze leaking through the door of the window and the crackling doorknob... The old houses in the works of “The House” have become a precious time and space where nature and humans can breathe together for us today who are surrounded by concrete structures.
The subject of the second solo exhibition was beach stones and seaweed, and the title was “The First Nature_grassland”. The first solo exhibition was about "humans", while the second solo exhibition was about "nature". Compared to the first solo exhibition, which was based on an old clay house, it seemed to be somewhat inferior to the second exhibition. After listening to the artist's explanation,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artist's world of work. Humans are also a part of nature, and when humans are with nature, they will be able to lead the most stable and peaceful life.
Scruton argued that photographs are different from paintings because photographs cannot express the photographer's thinking in principle because there is onl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s and objects. However, looking at the work of Lee Chul-ho, I can see that, contrary to Scruton's argument, photography can reveal the artist's thoughts as well as paintings, and it enables communication with viewers.
' The House' expresses the artist's memories of his childhood through the subject of a tree pillar in an earthen house that can be considered somewhat abstract. It allows people to think about human life at home, the place of human life. This can be said to be the power of thinking provided by abstract materials. The artist expressed the simplicity of a person who built and lived a house by using uncut trees as it is. It was expressing the compassionate and simple humanity of our common people who made various human relationships in that house.
The subject matter of'The First Nature_grassland' is rocks and seaweed on the beach. When the artist lived in city of Pohang for his job, it was the object he discovered while constantly traveling to the nearby beach. A stone that stands out especially among the countless stones on the beach. Unlike the dark blue stones around, seaweed-like things are scattered among white downy things. The artist was interested in these stones and drew attention. Looking at the white stones that are like seaweed and salt piled on the rock, the artist discovered the vitality of nature and made it into a work. The invisible fragments of life that were pushed by the waves settled on the rock. The warm sunlight shining on it and the warmth of the sea water were the beginning and source of another life. Sometimes they experience big and small trials called waves, but in proportion to the trials, seaweed took root of life on the rocks and grew.
The artist was impressed by the strong vitality of seaweed on the rocks by the seaside, pressed the shutter of the camera and touched the nature. While spending the same time in the same place, rocks that have similar but different colors, and seaweeds that grow in different shapes as if they were the same. This is reminiscent of the youthfulness of the neighborhood children who were running around on the large land, youth dancing in the spring breeze, and the gray-haired old man who transcends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and found peace. The artist infers humans and nature from the pillars of an abandoned earthen house and the rocks and seaweeds on the beach. This is the result of Lee Chul-ho's unique sensitivity and keen observational power.
To me, the sea was not a life, but a place of concealment and extinction. When the dark blue waves hit the white sandy beach, small lives were amazed, and it was a busy place to hide in the cracks of rocks. The crevices made by rocks and rocks by the sea were a concealed space where small beings were striving to maintain their lives so that they would not disappear. “The Meadow” reminded 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that I had forgotten. No life can survive on a rock filled with salt. But there, water plants sustain life. Water plants covered the stone in white and become one with the rock. In the process, I see lif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world and myself and being reborn as new beings.
As the artist said, life is the harmony of yin and yang, and will b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Such life has its own life texture, and the spirit of mutual care and living will be melted. The grassland paradoxically expresses that 'life' and death' are not a confrontational composition, but a relationship that constantly circulates within one orbit of 'life'.
Kendall L. Walton calls for imagining the work as a tool in representational art. When it is possible to do this, he argues, it can be a true representation art. It was said that this was done properly. Artist Lee Chul-ho's works seem to specifically require viewers to imagine'. He tells us to imagine a meadow drawn on a small stone, and he tells us that the meadow can take on a variety of shapes according to the viewer's imagination. Meadow after rain. Meadow without rain. Now grassy meadows. Meadow where grass grows and trees grow. The grassland is the nature in which human life runs, and in the grassland, humans live with other nature (trees, grass, insects, animals, etc.).
As the artist stated in the artist's note, “meadow” is a narrative about nature and humans. It is a story about the wonders of the great nature and the mystery of small life, a story about a festival that turns a field of extinction into a place of birth, and it is a story of ourselves living a different life as if it does not stop. The meadow is the beginning and the source. The grassland is a source that embraces the differences in various lives of countless beings. This artist's grassland is a representation of the Heidegger life ideology that asks us to ponder and learn an attitude of wonder, respect, and modesty toward “being itself”. I look forward to the artist's next work.  

                                                                           이철호 작가 “초원”에 대하여                                                                                                                                                                                                                     글. 최남정/교육학 박사, 예술학박사과정
이철호 작가의 첫 번재 개인전 ‘가家가’에 초대되어 감상의 기회를 얻었었다. 흑백사진 속의 옛 흙집들은 어린 시절 외할머니 댁에서의 추억을 상기시켰다. 흙집 마당에서 고무줄놀이를 하였고, 한 여름엔 모깃불에 옥수수를 구워먹었고, 창호지 문 사이로 새어 들어오던 겨울바람과 달그락 거리던 문고리 소리... ‘가家가’ 안내하는 옛집들은 콘트리트 구조물에 둘러싸여 살아가는 지금의 우리들에게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숨 쉴 수 있는 소중한 시공간이 되었다.
두 번째 개인전의 소재는 바닷가 돌과 해초들이었고, 제목은 초원이었다. 첫 번째 개인전이 “인간”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두 번째 개인전에서는 “자연”을 이야기하고 있다. 첫 번째 개인전이 옛날 흙집을 소재로 하였던 것과 비교할 때, 두번째 전시와 다소 연계성이 떨어지는 듯 했다. 작가의 설명을 듣고 나서 작가의 작품세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이 자연과 함께 할 때 가장 안정되고, 평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러튼은 사진과 대상은 단지 인과적(casual) 관계만이 있기 때문에 사진은 원칙적으로 사진가의 사고를 표현할 수 없으므로 회화와 다르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철호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나는 스크러튼의 주장과 달리 사진 또한 회화만큼 작가의 사고를 잘 드러내 줄 수 있으며, 감상자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가家가’는 다소 추상적이라 생각될 수 있는 흙집 속에 있는 나무기둥이라는 소재를 통해 작가의 유년시절에 대한 추억을 표현하였다. 인간의 생활터전인 집에서 인간의 삶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추상적인 소재가 제공하는 사고의 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다듬어지지 않는 나무를 그대로 이용하여 집을 짓고 살았던 사람의 소박함을 표현하였다. 그 집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만들어 갔던 우리 서민들의 애틋하고 소박한 인간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초원’의 소재는 바닷가의 돌과 해초들이다. 작가가 직장 때문에 포항에서 살았을 때 인근 바닷가를 끊임없이 오가며 발견한 대상이었다. 바닷가의 무수한 돌들 중에서도 특별히 눈에 띄는 돌. 주변의 검푸른 돌들과 달리 하얀 솜털과 같은 것들 사이로 해초와 같은 것들이 듬성듬성 자리를 잡고 있는 돌. 작가는 이런 돌들에 관심을 가졌고 시선을 끌었다. 바위 위에 쌓인 해초 같기도 하고, 소금 같기도 한 흰색 돌들을 보면서 작가는 자연의 생명력을 발견하였고 이를 작품화하였다. 파도에 밀려 온 보이지 않는 생명의 파편들이 바위 위에 자리를 잡았다. 그 위로 비춰져는 따스한 햇살과 바닷물의 온기는 또 다른 생명의 시작이었고 근원이었다. 때때로 파도라는 크고 작은 시련을 경험하지만, 그 시련에 비례하여 해초는 바위위에 생명의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였다.
작가는 바닷가 바위의 별 볼일 없는 해초의 강인한 생명력에 감동하여 카메라 셔터를 누르고, 자연과 감응하였다. 같은 장소와 같은 시간을 보내면서, 비슷하지만 다른 자신만의 색을 내는 바위, 같은 듯 다른 모양으로 자라나는 해초들. 이것은 넓은 대지 위를 뛰놀던 동네 꼬마들의 발랄함, 봄바람에 춤추는 청춘, 삶의 희노애락을 초월하고 평안함을 찾은 백발의 노인을 연상시킨다. 작가는 버려진 듯한 흙집의 기둥들과 무심한 바닷가 바위와 해초들에서 인간과 자연을 유추해 내었다. 이것은 이철호 작가만의 감성이자 예민한 관찰력의 결과라고 하겠다.
나에게 바다는 생(生)이 아닌 은폐와 소멸의 장소였다. 하얀 모래사장 위로 검푸른 파도가 밀어 닥칠 때면 작은 생명들이 소스라치게 놀라 바윗돌 틈새로 숨기 바쁜 곳이었다. 바닷가 바위와 바위들이 만든 틈새는 소소한 존재자들이 소멸되지 않기 위해서,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찾아드는 은폐의 공간이었다. ‘초원’은 망각했던 생사의 관계를 상기시켜 주었다. 소금기를 잔뜩 머금은 바위에서 더 이상 어떤 생명도 살아 갈 수 없다. 그러나 그곳에서 수초는 생명을 유지한다. 수초는 돌 위를 하얗게 덮었고 바위와 하나가 된다. 그 과정에서 세계와 나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존재들로 거듭나는 생명들을 본다.
작가의 말처럼 생명은 음과 양의 조화이며,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들의 상호작용의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생명에는 고유한 생명결이 있고, 서로가 서로에 대한 모심과 살림의 정신이 녹아져 있을 것이다. 초원은 ‘생’과 ‘사’가 대립적 구도가 아니고 ‘생명’이라는 하나의 궤도 안에서 끊임없이 순환하는 관계임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켄달 L.월튼은 재현예술에서 작품을 도구로 하여 상상하기를 요구한다. 이렇게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재현예술이 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이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철호작가의 작품들은 감상자들에게 ‘상상하기’를 특히 요구하는 것 같다. 작은 돌 위에 그려진 초원을 상상하라고 이야기 하고, 그 초원은 감상자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이 될 수 있음을 그는 이야기 한다. 비온 후의 초원. 비오지 않은 초원. 이제 풀이 자라는 초원. 풀이 무성히 자라고 나무가 자라는 초원. 그 초원은 인간의 삶이 영위되는 자연 그 자체이며, 초원에서 인간은 또다른 자연(나무와 풀과 곤충과 동물 등)과 함께 살아간다.
작가가 작가노트에서도 밝혔듯이, ‘초원’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하나의 내러티브이다. 거대한 자연이 주는 경이로움과 작은 생명의 신비로움에 대한 이야기이며, 소멸의 장을 탄생의 장으로 거듭나게 하는 축제에 대한 이야기이며, 멈출 듯 멈추지 않고, 같은 듯 다른 삶을 살아가는 우리 자신들의 이야기인 것이다. 초원은 시작이고 근원이다. 초원은 무수한 존재자의 다양한 삶의 차이를 품어주는 草原인 것이다. 이 작가의 초원은 ‘있음 그 자체’에 대한 경이로움과 존경, 겸허의 태도를 숙고하고 배울 것을 요청하는 하이데거 생명사상에 대한 재현이라 하겠다. 작가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진다.
Back to Top